name="google-site-verification" content="googleac9f069fe4a171e2.html" 25% 관세 폭탄… 누가 웃고, 누가 우나?
본문 바로가기
경제,건강

25% 관세 폭탄… 누가 웃고, 누가 우나?

by 이창이화 2025. 4. 11.
반응형
SMALL

자동차 산업을 덮친 ‘트럼프식 통상 쇼크’와 우리의 대응 전략

2025년 4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글로벌 산업계를 흔들어놨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수입산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선언은, 단순한 정책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의 축을 흔드는 조치였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들, 그중에서도 현대차, 기아, 한국GM 등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제조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현대차의 대미 수출은 2021년 36만 대에서 2024년 63만 대로 74%나 증가했습니다. 기아와 한국GM도 각각 55%, 165%나 급증했죠. 관세의 직격탄을 맞을 수출 물량이 그만큼 늘어난 것입니다. 문제는 이로 인한 비용. 미국 자동차 연구 센터(CAR)는 현대차·기아의 경우 대당 평균 8722달러, 우리 돈 약 1300만 원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습니다.

관세는 ‘세금’ 아닌 ‘방향’이다

그렇다면 왜 트럼프는 이 시점에서 다시 관세 카드를 꺼내들었을까요? 바로 미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정치적 목적 때문입니다. 다가오는 대선을 앞두고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내세워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하고, 글로벌 자본을 다시 미국 본토로 끌어들이겠다는 의도죠.

하지만 이 조치는 오히려 미국 내 소비자와 산업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포드, GM, 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업체조차 부품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대당 4911달러 이상의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총 제조비용 증가 예상치는 420억 달러에 달하죠.

현대차의 대응: 가격 동결과 생산지 다변화

현대차그룹은 이번 조치에 대해 다각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선, 미국 내 소비자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6월 2일까지 차량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익에 타격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신뢰를 확보하고 시장 점유율을 지켜내기 위한 정공법입니다.

또한 조지아주에 건설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기반으로 미국 내 생산량을 120만 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가동했습니다. ‘미국에서 만들고, 미국에서 판다’는 로컬 전략을 통해 관세 장벽을 넘겠다는 계산입니다.

40~60대를 위한 시사점: “투자와 소비, 감각을 다시 세우자”

지금 이 뉴스가 중요한 이유는 단지 ‘자동차 이야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요즘 40~60대는 자녀 교육, 은퇴 준비, 부동산 투자 등 다양한 경제적 고민 속에서 ‘글로벌 흐름’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폭탄은 그 흐름이 얼마나 빠르고, 예측 불가하며, 우리 실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국내 자동차 가격, 부품 수급, 주식시장, 심지어 전기차 보조금 정책까지 줄줄이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이죠. 특히 글로벌 제조업 관련 주식에 투자한 분이라면 이 같은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야 할 시점입니다.


 

반응형